정선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선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월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월군·정선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태규, 이종형, 전상요, 유기수, 신인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선군의 정치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7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횡성군 편입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이광재, 최종원, 염동열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정선군의 정치 - 영월군·평창군·정선군
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폐지되었으며, 존속 기간 동안 총 4번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각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춘천시 (2000년 선거구)
춘천시는 인구 증가로 분구되어 폐지되기 전까지 16대부터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승수, 허천, 김진태를 당선시킨 춘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7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횡성군 편입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이광재, 최종원, 염동열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정선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유형 | 국회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의원수 | 1인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정선군 |
이전 선거구 | 해당 없음 |
이후 선거구 | 영월군·정선군 |
유권자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지방 의회 | 알 수 없음 |
지방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의원 정보 | |
의원 | 알 수 없음 |
정당 | 알 수 없음 |
2. 역사
정선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때 정선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월군 선거구와 통합, 영월군·정선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설치와 폐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선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월군 선거구와 통합, 영월군·정선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최태규 후보가 당선되었고,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이종형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전상요 후보가,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유기수 후보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신인우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최태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들의 난립 속에 최태규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된 측면이 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태규 | 무소속 | 7,757 | 31.81 |
전상요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095 | 25.00 |
정연식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231 | 21.45 |
원석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437 | 18.20 |
이병두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858 | 3.51 |
합계 | 24,378 | 10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이종형 후보가 당선되었다. 당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들이 난립했으나, 이종형 후보가 신승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종형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357 | 22.38% |
유기수 | 무소속 | 4,721 | 19.72% |
김상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559 | 14.87% |
김상요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357 | 14.02% |
최승천 | 무소속 | 2,787 | 11.64% |
원석산 | 민주국민당1949 | 2,470 | 10.32% |
고근주 | 무소속 | 1,680 | 7.02% |
합계 | 23,931 | 10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전상요 후보가 자유당 유기수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여 당선되었다.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유기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유기수 | 무소속 | 9,861 | 41.07% | |
전홍진 | 자유당 | 7,081 | 29.49% | |
전부일 | 무소속 | 2,811 | 11.70% | |
신인우 | 민주당 | 2,567 | 10.69% | |
문병태 | 무소속 | 1,686 | 7.02% | |
합계 | 24,006 | 100% |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신인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한 정선군에서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는 자유당의 독재와 부정부패에 대한 반감, 그리고 신인우 후보의 개인적인 인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인우 | 민주당 | 7,500 | 26.48% |
최승천 | 무소속 | 7,086 | 25.02% |
유기수 | 무소속 | 5,231 | 18.47% |
홍태식 | 무소속 | 3,717 | 13.12% |
이종수 | 무소속 | 3,398 | 12.00% |
고석영 | 무소속 | 1,382 | 4.88% |
합계 | 28,31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